국내 수출·입의 주요 품목들의 경기 흐름이 순환국면(상승, 둔화, 하강, 회복)상 어느 위치에 있는지를 사분면 위에 시계처럼 시각적
으로 보여주는 도구
관세청 “성질별 분류체계“ 대분류 기준 수출 4개 품목*과 수입 3개 품목**으로 구성
※ * : 식료 및 직접소비재, 원료 및 연료, 경공업, 중화학공업 ** : 소비재, 원자재, 자본재
지표해석
지표가 위치하는 해당 사분면을 기준으로 현재 순환국면상의 위치를 판단
각 사분면(영역)의 의미
순환변동계열 전월대비 증가, 추세상회 -> 1영역(상승국면 : 녹 색)
순환변동계열 전월대비 감소, 추세상회 -> 2영역(둔화국면 : 주황색)
순환변동계열 전월대비 감소, 추세하회 -> 3영역(하강국면 : 빨간색)
순환변동계열 전월대비 증가, 추세하회 -> 4영역(회복국면 : 노란색)
유의점
무역경기순환시계의 구성지표들은 계절(seasonal), 불규칙(irregular) 및 추세(trend) 변동요인이 제거된 순환변동요인(cyclical
component, 순환변동치)과 그 전월차 자료를 이용하여 만들었기 때문에 원계열과 증감 방향이 다를 수 있음
순환변동치 추출방법의 특성상 최근 개별지표의 사분면상 위치는 매월 자료가 추가됨에 따라 변동될 수 있음
관련용어
순환변동요인 : 확장과 수축을 반복하는 주기적인 변동으로, 일반적으로 시계열의 변동 요인 중 계절변동요인, 불규칙변동요인, 추세변동요인을 제외한 변동요인
관세청 “성질별 분류체계“ : 관세청에서 발표하고 있는 “수출입 동향”의 분류체계로 수출·입 품목 중 유사한 성질을 가진 것들끼리 그룹화한 분류체계로, 대분류, 중분류, 소분류, 세분류로
구분되며, 각 항목에 포함된 개개의 품목들은 모두 관세·통계 통합 품목분류표(HSK : the Harmonized System of Korea) 10단위와 연계되어 있음
FOB(Free on Board : 본선인도조건) : 수출자가 물품을 지정 선적항에서 수입자가 지정한 본선에 적재될 때까지 물품의 멸실 또는 손상의 위험을 부담하는 조건
FOB가격은 ‘본선인도가격‘ 또는 ‘수출항 본선인도가격'이라고 하며, 무역상품을 선적항에서 수입자에게 인도할 때의 가격을 의미
CIF(Cost, Insurance and Freight : 운임, 보험료 포함 인도조건) : 수출자가 상품의 선적에서 목적지까지의 원가격, 운임료, 보험료 일체를 부담할 것을 조건으로 한 무역계약으로, CIF가격이란
수출 및 수입 상품의 운임·보험료를 포함한 가격, 즉 도착항까지의 인도가격을 의미